영국의 의료학계는 최근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 출현한 코로나19 ‘누’(Nu·B.1.1.529) 변종 바이러스가 델타 변이보다 더 강력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지난 11일 보츠와나에서 누 변종 사례가 처음 발견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감염자는 총 10명이다. 보츠와나 3명, 남아공 6명 그리고 남아공에서 홍콩으로 입국한 36세 남성에게 감염이 확인됐다.
‘누’ 변이는 스파이크(spike) 단백질에 32개에 달하는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 그중 다수는 전염성이 강하고 백신 내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자신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체 세포 표면의 ACE2 수용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침투한다. 바이러스 변이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이 변하면 항체가 바이러스의 세포 침입을 막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감염이 더 쉬워진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UCL)의 유전학자인 프랑수아 발루스 교수는 “코로나에 감염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로부터 변종이 발병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면역체계가 악화된 인간의 체내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오래 머물면서 항체를 피해 가는 방향으로 변이를 일으켰다는 설명이다.
발루스 교수는 “누 변종은 델타보다 항체를 더 잘 피해 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mperial College London)의 바이러스 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 ‘누’ 변이를 끔찍하다(horrific)고 표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유행 중인 델타를 비롯해 기존 변종보다 더 나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했다. 다만 “아직 확산세가 빠르지 않아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506048&code=61131111&cp=nv
참고로 더 나아가 코로나 이슈에 시장에 더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음.
1) WHO에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Nu에 대해 금요일 회의 이후 발표할 예정.
2) 남아공에서 발생한 이번 변이 바이러스로 남아공의 사례가 급증.
3) 남아공 북부 지역에서 이미 11월 초에 발생해 확산 추세를 이루고 있음
4) 남아공 사례를 분석해 보니 이미 델타 변이 바이러스를 확실하게 넘어 섰다는 점
5) 이번 변이 바이러스가 더 높은 전염성, 백신 돌파 되는 등 내성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남아공에서의 여행이 활발하게 진행 되었던 유럽 지역의 확산이 Nu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은 발표 안됨. 이 경우 백신에 대한 내성등을 감안 좀더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이 주목하고 있음
반응형
'기사 > 이슈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연 사퇴로 이재명지지율 빨간불 (0) | 2021.12.03 |
---|---|
2030년의 미래 (0) | 2021.11.26 |
알아야할 세법(부동산투자세법) (0) | 2021.11.23 |
주택임대사업자 등록혜택 (0) | 2021.11.22 |
요소수거점주유소리스트 211117(18시) (0) | 2021.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