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의 존재감 더욱 부각
- 현재 디지털자산 시장 내에서 이더리움의 점유율은 21.4%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
-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이 연초 약 70%에서 현재 40.5%까지 하락한 것과 대조적
* 디파이(DeFi)와 NFT, 그리고 EIP-1559
- 디파이(DeFi)와 NFT의 성장이 이더리움 성장에 크게 기여
- EIP-1559 업그레이드는 작업증명(PoW) 합의 메커니즘을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기 위해 채굴 보상 방식을 바꾸는 일종의 블록체인 인센티브의 구조조정
- EIP-1559가 도입된지 130여일이 지나는 동안 약 120만개 이상의 이더리움이 소각
- 가장 많이 소각된 분야가 NFT와 디파이(DeFi)
* 시장 내 이더리움의 존재감은 더욱 확대될 것
- 디파이(DeFi)와 NFT의 인기로 한 때 이더리움 소각 금액이 채굴 보상 금액보다 많아지면서 공급량이 마이너스를 기록
- 디파이 및 NFT의 근간이 되는 이더리움은 EIP-1559의 도입에 따른 공급감소 추세가 뚜렷해질 것으로 보여 향후에도 시장 내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전망
반응형
'주식 > 리포트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에너지솔루션상장 이후(LGES,SK이노베이션) (0) | 2022.01.19 |
---|---|
자율주행 카메라 업황이 달라진다-LG이노텍, 엠씨넥스, 파트론 (0) | 2022.01.16 |
2022년 섹터전망(유진투자) (0) | 2021.12.10 |
인플레이션과 테이퍼링 종료 (0) | 2021.12.07 |
2022년 미디어 콘텐츠 예상-하이브, 아프리카tv (0) | 2021.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