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모빌리티 사업에 집중한다
[기자의눈] 삼성전자 이재용의 예사롭지 않은 '차(車) 행보'‥'빅스텝' 밟을까 - 글로벌경제신문
\"(헝가리) 배터리 공장도 가고, BMW도 만났다.\"18일 유럽 출장을 마치고, 서울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말 한마디가 눈길을 끈다. 이 부회장의 이번
www.getnews.co.kr
"(헝가리) 배터리 공장도 가고, BMW도 만났다."
18일 유럽 출장을 마치고, 서울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말 한마디가 눈길을 끈다.
이 부회장의 이번 언급이 단순히 팩트 전달을 넘어, 예사롭지 않게 들리는 이유가 있다. 지난 7일 네덜란드 등 유럽 출장을 떠나기 전 알려진 그의 일정이 반도체 핵심 장비 생산 업체인 네덜란드 ASML 본사와 유럽 최대 규모의 종합반도체 연구소 방문 등 대부분이 반도체 관련 일정으로 채워진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예상과 달리, 이재용 부회장은 입국 첫 일성에서 반도체 대신 전기차 관련 업체 방문을 언급한 것이다. 때문에 업계 안팎에서는 삼성이 앞으로 전기차 관련 사업에 투자, 진출을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 대체적으로 나왔다.
이를 찬찬히 뜯어보면, 여느 때와는 다소 늬앙스가 느껴진다. 유럽 출장 전후 국내에서 터져나온 전기차 관련 이슈가 맞물린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부회장의 전기차 관련 언급은 우연의 일치에 가까울 수 있다.
하지만, 예사로이 볼 사안도 아니다. 이 부회장은 이번 유럽 출장에서 배터리와 고객사(BMW), 그리고 전장 계열사인 하만 카돈을 방문했다. 전기차 사업을 아우르는 산업군이자 업체들이다. 일종의 전기차 관련 수직 계열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이야기는 삼성이 이들 계열사 만 갖고도 전기차 생산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를 근거로 업계 일각에선 삼성이 전기차 사업에 뛰어드는 것 아니냐고 추측을 내놓기도 했다.
이 지점에서 핵심은 '삼성이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있느냐'로 압축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예스(그렇다)"다. 국내 자동차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삼성이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는 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삼성의 경우 수소전기차,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인 전자·IT·통신 등에 대한 핵심 기술은 물론, 배터리와 음향 기기에 이르기까지 전장 사업 관련 수직 계열화를 이룬 상태나 다름없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 관련 법, 제도 등까지 따져봐도 삼성카 생산에는 별 제한이 없다. 또, 판매 방식에서도 최근 온·오프라인 판매는 물론 '구독경제'가 활성화돼 유통 및 판매에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
과거 엘지그룹주도 애플카 이슈도 집단테마를 이루면서 단기간 100%상승을 했었다.
지금은 삼성이 이러한 흐름에 있다고 보여집니다.
완성차가 아닌 모빌리티 사업에 집중할것으로 보여진다.
아남전자
[특징주]아남전자, 삼성 차량용반도체 분야 M&A 추진 등 향후 하만 활용 여부 촉각↑
과거 하만카돈을 인수(7조)이후 시너지 효과를 누리고있는중
매출과 영업이익률이 꾸준하게 상승
삼진엔앨디
[특징주]삼진엘앤디, 삼성 '전기차 공동 개발' TF 발족… 배터리 독과점 공급 부각↑
이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등 각사의 핵심 인력이 전기차 TF에 참여하고 있다. 삼성SDI와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등 계열사는 전기차 배터리, 자율주행 칩, 차량용 반도체, 카메라 모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여러 핵심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tcc스틸
[특징주] TCC스틸, 원통형 배터리 포장재 수요 확대 기대…
원통형 배터리 포장재 신사업 성장성이 영업이익 레버리지 효과를 만들어낼 것이란 전망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반영된 덕분이다
에이테크솔루션
삼성전자가 2대주주
라이다부품 국책과제로 개발중
상신이디피
[특징주]상신이디피, 삼성 전기차 사업 진출에 배터리 부품 공급 부각
지난 1992년 상신정밀로 시작한 상신이디피는 2차전지용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사업 초기 CRT TV용 부품으로 시작했지만, 현재 2차전지 부품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SDI다. 상신이디피는 중국 시안의 상신하이텍 자회사를 통해 삼성SDI에 전기차용 2차전지 캔을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공급했다
'주식 > 테마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감축법시행 수산화리튬 관련주 (미래나노텍, 강원에너지, 이브이첨단소재, 금양) (1) | 2022.09.29 |
---|---|
애플페이 관련주- 한국정보통신, 이루온, 나이스정보통신 (0) | 2022.09.12 |
현대차, 미국 전기차 공장 신설 수혜주 (0) | 2022.05.09 |
에코플라스틱,코오롱플라스틱- 나프타관련주 (0) | 2022.05.04 |
농슬라, 농기계도 이제는 자율주행이다. (0) | 2022.05.03 |
댓글